들어가기 전에
자바에서 조건식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boolean 타입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학습 목표
boolean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핵심 단어
- boolean
강의 듣기
들어가기 전에
자바에서 조건식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boolean 타입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학습 목표
boolean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핵심 단어
강의 듣기
boolean
boolean 데이터 타입은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true와 false 키워드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메소드의 리턴 값이나 비교 연산으로 도출할 수 있습니다.
다음 소스 코드를 통해 boolean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Boolean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One");
System.out.println(1);
System.out.println(true);
System.out.println(false);
String foo = "Hello world";
// String true = "Hello world"; reserved word
System.out.println(foo.contains("world"));
System.out.println(foo.contains("egoing"));
}
}
boolean 데이터 타입은 콘솔에서 출력해보면 true, false로 출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자열 객체의 contains 메소드와 같이 결과값이 boolean 데이터 타입인 경우,
또는 비교 연산자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경우에도 boolean 데이터 타입을 다루게 됩니다.
생각해보기
1) boolean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참고자료
https://docs.oracle.com
comment
조건문으로 사용 true/false이용 가능
조건문을 할 때 사용가능하다.
boolean 값의 활용 - 일치와 불일치의 여부를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가 로그인이다.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일치 불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true의 값이 확인되었을 때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String관련해서 Boolean을 활용을 어떻게 할까.
로그인 기능에서 서버에 등록된 아이디와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를 비교하여 true false로 나누어 로그인을 승인할지 안할지 기능을 구현가능할 것 같다.
참 혹은 거짓으로 조건이 나뉘는 조건문
boolean은 조건문과 같이 쓰면 좋을 것 같다!
한계정당 한번만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의 경우
이전 이벤트 참여 이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참여가능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경우의 수가 2가지로 나뉘는 경우 각각의 조건을 설정해줄 때 사용가능하다.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다.